닌텐도 스위치2 발매소식
일본 및 해외 (우리나라 포함) 6월 5일 발매
지역코드 부활로 일본 내에서는 49,800 엔에 판매. (마리오카트 월드 동봉판은 53,900 엔)
그 외 지역용은 일본에서 69,800 엔에 판매. (일본 기본판과 동일한 구성)
미국 판매 가격은 $449.99
일본판은 이전 스위치 중국 정발판과 비슷하게 오직 일본어만 지원하고 닌텐도 일본 스토어에 접속할 수 있는 유일한 기기입니다. 이전에 만든 스위치용 닌텐도 어카운트도 지역이 일본 및 일본어로 고정됩니다.
일본외 지역판은 일본 내에서는 마이닌텐도에서만 선발매합니다. 초기 출시 국가는 우리나라 포함 북미, 유럽, 호주, 중국제외 아시아입니다. 당연히 '일본외 지역판' 이며 AC 어댑터만 지역의 전원 코드에 맞춰 변경됩니다.
일본 내수용 스위치2 및 내수용 스위치2 게임 카트리지와 전세계용 스위치2 및 전세계용 스위치2 게임 카트리지 간의 상호 호환은 메이커 보증 외라고 하며 보다 자세한 제약 사항은 추가 소식이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스위치1 기본 (LCD) 과의 사양 변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 화면
- 6 → 8 인치
- 720p HD LCD → 1080p FHD LCD (HDR10 대응 더 밝아진 스크린)
- 60 fps → 120 fps
- 콘솔 모드에서는 4K 60fps 출력 및 HDR 출력 지원
* 크기
- 두께 동일 (스위치1 덱과 호환 가능?)
- 무게 297g → 401g, 조이콘(2) 탑재시 398g → 534g
* 배터리
- 4310 mAh → 5220 mAh
- 지속시간 2.5~6.5 시간 → 2~6.5 시간
* 메모리카드
- 내장 메모리 : 32 GB → 256 GB
- MicroSDUC Express (MicroSD Express) 카드 지원
- 현존하는 모든 MicroSD 카드는 스위치 2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존 카드는 사진과 동영상 보는 용도로만 쓸 수 있으며, 새로운 SDUC 규격 MicroSD Express 카드를 구입하고 인터넷 닌텐도 스토어에서 카드를 등록해야만 게임 저장 및 세이브 파일 저장 용도로 쓸 수 있습니다.
- SDUC 는 전송속도 1 GB/s 를 지원하는 최신 규격이라 작년에 겨우 첫 메모리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새 규격 SDUC 는 기존의 SDXC UHS-II, UHS-III 와 하위호환 안되고 완전히 별개의 규격이라 SDXC UHS-I 의 100 MB/s 속도로만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스위치2 에서 게임 저장용도로 사용하는 것 조차 불가능합니다. 아직 MicroSD Express 지원하는 메모리카드 안 파니까 기다리세요!
* 그 외 자잘한 거
- 현세대 콘솔 기능 대부분 지원 : 헤드폰 사용시 3D 오디오 효과, 더 나아진 스테레오 스피커, 본체 내장 마이크 탑재 등
- 상부에 USB-C 포트가 하나 추가되어 거기로 충전하거나 USB-C 타입 웹캠을 끼워 화상채팅을 할 수 있습니다. 단, 하부 USB-C 로만 콘솔 도크 모드를 쓸 수 있습니다.
* 예상과 다른 거
- 조이콘 2 에서 L2 R2 버튼이 트리거 기능 미지원. 그냥 이전처럼 클릭만 됩니다.
- 스위치1 용 게임 중 스위치2 하드웨어의 성능을 활용하여 프레임 및 추가 그래픽 효과 업그레이드를 받으려면 닌텐도 스토어에서 업그레이드 패스를 유료로 구입해야 합니다. (전용 패치 구매 없이 기본 그래픽에 성능 부스트만 가능한지 여부는 미확인)
요약하면 우리나라 6월 5일 발매 698,000 원+ a 입니다.
그리고 제가 지나치게 희망적으로 본 건지 몇가지 기능 제약이 생겼습니다. 지역코드가 생겼는데 이전 3DS 처럼 게임조차 못 돌리도록 악독하게 제한할지 지켜봐야 하며, 조이콘2 L2 R2 의 트리거 기능이 여전히 미지원입니다. 그리고 아직 시장에서 찾아볼 수 없는 최신 SDUC 규격 MicroSD Express 메모리카드만 쓸 수 있는 것도 뼈아픕니다. 가장 많이 팔릴 콘솔이니 메모리 제조사에서도 금방 신제품 출시하겠지만요.
가장 궁금한 건 스위치 1 게임 부스트입니다. 일단 젤다 야숨과 젤다 왕눈 전부 업그레이드 패스를 유료 구입해야 스위치 2 에서 플레이 가능한 것으로 공개되었습니다. 그럼 업그레이드 패스가 없는 야숨과 왕눈은 스위치 1 그래픽으로 스위치 2에서 플레이가 가능한지, 그리고 패스 없을 때에도 기기 성능을 활용하여 15 프레임이 아닌 60 프레임으로 할 수 있는지가 궁금해집니다.
또한, 닌텐도가 아닌 다른 회사는 옛날 기종 게임에 대한 지원이 인색하기 때문에 코에이의 젤다무쌍 1, 2 의 경우 정식 스위치2 업그레이드 패스를 발매해줄리 만무합니다. 따라서 스위치2 기기 자체에서 제조사 지원없이 + 정식 업그레이드 패스 판매 없이도 스위치1 게임에 대한 보편적인 성능 부스트 옵션을 제공할지 여부가 저에게 가장 민감한 사항입니다.
----------
지역코드 관련 추가 사항
- 일본판은 해외에서 발매된 카트리지의 동작 여부를 보증하지 않습니다.
- 일본판은 해외 닌텐도 스토어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 일본외 지역판은 모든 국가 (일본 포함) 의 지역별 닌텐도 스토어에 계정을 연동할 수 있으며 본체에서 제공하는 16개 언어를 쓸 수 있습니다.
그 외
- 조이콘2 는 스위치 1 에서 사용 불가
- 유료인 게임 채팅 기능 사용시 차단한 유저에게는 그 사람을 차단했다는 표시가 뜨지 않음
- 업그레이드 패스는 현재까지 발표된 타이틀은 타이틀당 1,000 엔 (일본만). 미국 $10. (우리나라 15,000 원일 가능성 높음)
- 가상 게임카드는 같은 본체 안에서 다른 계정 유저도 사용 가능
- 가상 게임카드의 14일 대여는 원한다면 더 일찍 수거 가능.
- 스위치2 전용 게임의 가상 게임카드는 스위치1 에 설치 및 대여 불가
- 가상 게임은 페어링한 두 대의 물리적인 기기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세번째 기기에 연동하려면 기존 기기중 하나의 연동을 해제해야 함.
- 세이브 데이터는 기기마다 별개로 남으며, 다른 기기로 이전시에는 현재의 세이브데이터 이전 기능을 사용.
- 엇갈림 통신은 슈퍼 마리오 파티 잼버리처럼 특정 타이틀에서만 활성화.
- 스위치1 과의 엇갈림 통신은 온라인으로는 불가능하고 현실 로컬 연결에서만 가능.
- 스위치 2 용 USB 웹캠은 시중의 다른 웹캠으로 대체 가능. (동작 보증은 안 함)
- 키카드는 다운로드 코드만 들어있는 물리적인 카트리지. 게임 데이터는 없으므로 인터넷으로 본체나 MicroSD Express 카드에 게임 실행 데이터를 다운받아서 저장한다.
- 키카드로 활성화한 게임은 풀버전 카트리지처럼 키카드 카트리지를 반드시 본체에 끼워야 해당 게임을 플레이 가능.
- 키카드는 닌텐도 스토어 계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계정 귀속이 아니므로 다른 본체에서도 새로 다운로드받고 실행 가능.
- TV 출력시 4K 60fps 까지 출력 가능하며 VRR 대응. FHD (1920x1080) 시 타이틀에 따라 120fps 대응 (메트로이드 등)
스위치1 게임 실행시 성능 부스트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